헤르페스 2형 증상, 치료 원인
◆ 헤르페스는 사실 총 8종류가 있다.
◆ 단순 헤르페스,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, 엡스타인 바이러스등인데 이중에서 우리가 많이 걸리고 흔히 얘기를 하는것이 단순 헤르페스이다.
◆ 그리고 이 단순 헤르페스가 1형과 2형으로 나누어진다.
♥ 헤르페스 1형 증상
◆ 단순 헤르페스 1형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감염되어 있는데 성인의 70%이상이 감염되어 있는것으로 추정한다.
◆ 그리고 이 1형 헤르페스는 주로 상체, 특히 입술에 증상이 많이 나타난다.
◆ 입술이라던지 입술주변, 얼굴, 목등에 간지럽고 아픈 물집이 생기는것이 특징이다.
◆ 하지만 1형 헤르페스인데도 드물게 성기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.
♥ 헤르페스 2형 증상, 원인
◆ 2형은 성기를 비롯해 엉덩이, 다리등의 하체에만 발생되는 바이러스이다.
◆ 생식기에 대부분 나타나기때문에 성기 헤르페스로 부르기도하는데 주로 성관계등의 접촉에 의해 감염이 되며, 그밖에도 감염자가 쓴 물건에서 전염되는 경우들도 있다.
◆ 또 출생시 엄마로부터 감염되는 모자감염의 경우도 있다.
◆ 헤르페스 2형 바이러스는 허리근처의 신경에 잠복하는 특징이 있고, 보균자의 면역력, 저항력이 떨어졌을때 활동을 시작하면서 발병한다.
♥ 헤르페스 2형 치료는?
◆ 없다. 바이러스는 한번 감염되면 우리몸속에 늘 잠복해있게되고 몸이 피곤하거나해서 저항력이 떨어지면 활동을 시작해 통증을 주게된다. 대신에 증상이 나타날때 완화시키는 항바이러스 약물이 있다.
◆ 먹는약도 있고 바르는 연고도 있는데, 처음에 생식기가 간질간질하면서 증상이 시작되는쯤에 연고를 발라주면 넓게 퍼지거나 증상이 심해지는것을 미연에 방지는 할 수 있다.
◆ 통증이 심한 경우엔 진통제나 항생제를 사용한 치료를 할수도 있다. 재발이 유독 심한 사람은 매일 항바이러스 약물을 복용하면서 위험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.
◆ 만질수록 물집이 번지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간지러워도 만지지 않도록 최대한 참는것이 중요하다.
◆ 최선의 예방법은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활동할 수 없도록 평소에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서 면역력이 높은 몸상태를 유지하는것이다. 또한 타인에게 옮기지 않도록 환부를 만지지 않도록 노력해야한다.